AWS S3 콘솔에 로그인 후 [버킷 만들기] 메뉴를 선택 하자.
버킷 이름은 DNS 형식으로 입력한다. ex) test.example.com (버킷 이름을 적절한 형식으로 만들면 AWS Route 53으로 호스팅 할때 레코드 생성시 쉽게 별칭을 추가 할 수 있다.) 리전은 서비스 지역에 맞게 선택하고 다음으로 넘어가자.
버킷 생성 단계는 [이름 및 리전] >[옵션] > [권한] > [검토] 4 단계로 되어 있는데 옵션, 권한, 검토 단계는 버킷 생성 하고나서 변경 가능하니 기본설정으로 두고 버킷 생성을 완료하면 된다.
버킷 생성을 완료하면 목록에서 확인 할 수 있고 버킷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볼 수 있다. (참고 이미지 내 목록은 폴더를 추가 하면 볼 수 있다.)
상단에 보면 개요, 속성, 권한, 관리 탭을 볼수 있는데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을 위해 속성 탭에서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메뉴를 선택한다.
아래 이미지는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설정 부분으로 상단에 엔드포인트로 브라우저에서 접속하면 하단 인덱스 문서가 기본 페이지로 보여진다.
마지막으로 [권한 탭]에서 ‘버킷 정책’ 메뉴에서 S3 리소스에 대한 사용 권한을 부여 해야 한다. 버킷 정책은 편집기 내부에 작성해서 넣으면 된다. 버킷 정책을 작성하는 방법은 왼쪽 하단에 정책 생성기를 통해 만들수 있다.
정책 생성기에서 접근과 권한에 대한 설정 옵션이 있다. 아래 이미지의 예시처럼 옵션을 선택해도 되지만 버킷성격에 맞게 정책을 커스텀 하면 된다.
설정을 완료하고 ‘Add Statement’ 버튼을 누르면 마지막 단계에서 설정된 내용을 목록에서 확인 할수 있다.
‘Generate Policy’ 버튼을 누르면 JSON 형태의 완성된 정책을 내용을 볼 수 있다.
완성된 내용은 복사해서 정책 편집기 부분에 붙여 넣고 저장하면 버킷 기본 설정은 완료 된다.
(혹시, 버킷 저장 단계에서 액세스 차단 에러가 나온다면 ‘퍼블릭 액세스 차단’ 메뉴로 들어가서 차단을 풀고 저장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버킷에 준비한 빌드 된 파일을 업로드 하고 브라우저에서 엔드포인트로 접근해서 사이트가 잘 보인다면 성공이다.
# S3 동기화하기